본문 바로가기
대학원 입학과정

전문상담교사2급 자격증 비전공자 취득방법

by 학점은행제를 준비하는 사람들 2021. 7. 26.

관련 없는 전공학과를 나오신 경우라도 전문상담교사 2급 자격증 취득을 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 내용에는 비전공자가 전문상담교사 2급 자격증을 취득하는 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먼저, 전문상담교사 2급 자격증 취득과정에 대해서 이해를 하기전에 전문상담교사2급 자격증이 어떤 자격증인지 알고 가겠습니다. 전문상담교사 2급은 중등교사 교원자격증입니다. 중등, 고등학교 시설에서 상담사로써 근무를 할 수 있는 자격증인 것이죠.

 

그리고 그 외에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상담시설에서도 인정하고 있는 자격증 입니다. 상담분야에서는 자격증이 그렇게 많지 않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상담분야 자격증 중 전문상담교사 2급은 높게 평가를 받습니다.

 

전문상담교사 2급 자격증을 받기 위해서는 교직이수 과정을 수료해야 하는데, 교직이수는 일반대학교, 대학원 등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비전공자 분들은 2가지 경로 중 어떤 과정이 효율적일까요?

 

일반대학교 교직과정

 

교직이수 과정은 4년제 대학에서만 가능하고 상담심리학과는 거의 4년제 대학에 있습니다. 그래서 4년제 대학에서 교직이수를 하려면 신입학 또는 편입학 과정을 통해서 전문상담교사 2급 자격증 취득을 하셔야 하죠.

 

그런데 4년제 대학의 편입학, 신입학 입학 장벽이 생각보다 높은 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일반대학교에서 교직이수를 받는 학생은 5% 정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교직이수 신청을 하여 경쟁에서 이기려면 대학교 입학 이후에도 상위 성적을 유지해야 합니다.

 

 교육대학원 교직과정

 

교육대학원 과정에서 전문상담교사 2급 취득을 하기 위해서는 교육대학원 입학 전에 전공학점을 일부 이수해서 가야 합니다. 교육대학원에서 이수하는 학점만으로 교원자격증 취득이 안되기 때문에 입학전 학점이수조건이 있습니다.

 

일반대학교의 신입학, 편입학 과정보다 입학 장벽이 낮은 편에 속 합니다. 교육대학원은 이전 대학 성적과 면접을 통해서만 선발하는데 일반대학교 입학은 수능이나 영어성적이 필요하기 때문에 비교적 교육대학원 입학 준비가 쉽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교육대학원 교직원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과정이기 때문에 사범대학교와 동일하게 교직이수를 다 받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습니다.

 

다만, 교육대학원은 입학 전 전공학점을 이수해서 입학을 해야 되기 때문에 비전공자의 경우 학점은행제를 통해 심리학 학위과정을 해야 합니다.

 

 

교육대학원 입학조건

 

교원자격증은 전공 50학점과 교직 22학점을 이수했을 때 교육부에서 자격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교육대학원에서는 전공 20학점 교직 22학점 밖에 취득할 수 없는 커리큘럼이기 때문에 교육대학원 입학을 하기 전에 전공학점을 선 이수해서 가야 되는 입학조건이 있는 것이죠.

 

그래서 심리 또는 상담과 관련 없는 학과 전공을 하셨다면 심리학 전공학점 취득하는 과정이 선행으로 필요시 됩니다. 전공학점은 26~38학점 정도를 이수해야 합니다. 교육대학원마다 교육 커리큘럼이 다르기 때문에 선이수를 해야 되는 전공학점 역시 차이가 있게 됩니다.

 

보통 인 서울에 있는 교육대학원은 38학점의 전공학점이 필요시 되는데, 학점은행제 심리학 과정을 하게 되면 38학점 이상은 이수하기 때문에 사실상 모든 교육대학원의 입학조건을 갖출 수 있게 됩니다.

 

 

학점은행제 심리학 과정

학점은행제는 학력에 따라 진행과정이 다르게 되기 때문에 어떤 학력을 보유하고 있는지에 따라서 진행과정이 세부적으로 다르게 됩니다. 보편적으로 교육대학원 진학을 희망하시는 분들은 4년제 비전공자 분들이 많으셨는데,

 

4년제 비전공자의 경우 학점은행제로 타전공 과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공 48학점을 2학기 과정으로 진행하게 되면 교육대학원 입학조건을 갖출 수 있게 됩니다. 여기서 의문부호가 뜨는 부분이 있으실 겁니다.

 

교육대학원에서 요구하는 학점은 전공 26~38학점인데 왜? 학점은행제로 48학점이나 취득을 해야 되냐는 것이죠. 이수한 과목이 전공학점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과목을 이수하는 과정에서 심리학 전공으로 학위 취득을 해야 '전공학점'이 됩니다.

 

학위 취득은 하지 않은 채 과목 이수만 하게 되면 그것은 그냥 과목이수 또는 그냥 학점입니다. 그런데 교육대학원에서 요구하는 것은 전공학점이기 때문에 심리학 과목에 해당하는 과목을 이수하고 심리학으로 학위를 취득해야 하는 것이죠.

 

4년제 비전공자는 타전공 학위과정으로 해서 전공 48학점만 취득하여도 심리학 전공에 대한 4년제 학위를 취득할 수 있게 됩니다.

 

 

그 외에 학력자의 경우

2년제 졸업자 또는 고등학교 졸업자이신 경우에도 교육대학원 진학을 희망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일단, 대학원 입학의 기본 조건인 4년제 졸업 학력이 안되기 때문에 4년제 학위 취득하는 과정에 초점을 둬야 합니다.

 

학점은행제에서 4년제 학위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총 140학점이 필요하게 됩니다. 그렇다고 0학점부터 140학점을 이수하는 것은 아닙니다. 학점은행제는 다른 대학에서 이수했던 학점과 자격증을 학점으로 인정하기 때문에

 

다른대학에서 2년제 또는 중퇴 학점을 학점은행제로 가져와 학점은행제 심리학 학사학위 과정에 포함을 시킬 수 있습니다.

 

 

학점은행제 학위 취득기간

학점은행제는 여러 가지 영역에서 학점인정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준비를 하는 사람의 정확한 내역 확인이 되어야 하지만, 학력기준으로 해서 대략적으로 준비 기간을 설명드릴 수 있습니다.

 

고등학교 졸업자의 경우 총 4학기 과정으로 4년제 졸업장을 취득하여 교육대학원 진학을 하실 수 있습니다. 학점은행제는 자격증과 독학사로 학점을 추가적으로 취득할 수 있기 때문에 4년제 졸업장 취득기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대학 중퇴자의 경우 몇 학기를 하고 중퇴했는지에 따라 다르게 되지만, 3학기로 준비를 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 될 듯합니다.

 

2년제 졸업자의 경우 2학기 과정으로 준비를 할 수 있으며 4년제 졸업자의 경우에도 2학기 과정으로 준비를 할 수 있죠.

 

글을 마치며

교육대학원은 이전 대학 성적과 전공면접을 통해서 입학자를 선발합니다. 그렇기에 학점은행제를 통해서 선이수 전공학점을 취득하는 과정에 성적이 중요합니다. 그렇기에 되도록이면 성적을 쉽게 받을 수 있는 교육기관 선택이 중요 합니다.

 

전공면접은 심리학개론을 바탕으로 진행이 되기에 전공서적과 예상 면접 질문을 몇 가지 참고하여 준비를 하게 됩니다. 전문상담교사 2급 취득을 목적으로 교육대학원 진학을 준비하고자 하시는 분들이 있다면 질문 보내 주세요. 

 

 

'대학원 입학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대학원 입학방법  (0) 2021.07.28

댓글